비수도권 그린벨트 17년 만에 대규모 해제: 지역 경제 활성화 '청신호' 켜지나
정부가 부산과 대전 등 비수도권 지역의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를 대규모로 해제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번 결정은 무려 17년 만에 이루어지는 규제 완화로, 침체된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담겨 있습니다. 이번 그린벨트 해제가 지역 경제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7년 만의 규제 해제, 비수도권 경제 도약 발판 마련
이번 그린벨트 해제는 2008년 이후 17년 만에 총량 확대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특히, 개발이 엄격히 제한되었던 환경평가 1, 2등급지 5곳까지 포함되어 있어 더욱 파격적인 조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해제 대상 지역은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를 포함하여 대구, 광주, 대전, 창원 일대 등 총 15곳, 42km² 에 달합니다. 이는 해운대 신시가지의 5배에 달하는 광대한 면적으로, 비수도권 지역 개발에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해제 배경: "죽어가는 지역 경제 살리기"
정부의 이번 결정은 "죽어가는 지역 경제를 살리겠다"는 절박한 목표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수도권 집중 심화와 인구 감소로 인해 비수도권 지역 경제는 갈수록 침체되고 있으며, 그린벨트 규제는 지역 개발의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해 왔습니다. 이에 정부는 과감한 규제 해제를 통해 지역 투자를 활성화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겠다는 구상입니다.
주요 개발 계획: 나노반도체, 2차 전지, 물류 단지 조성
해제되는 그린벨트 지역에는 지역별 특성에 맞는 첨단 산업 단지가 조성될 계획입니다. 특히, 미래 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나노반도체, 2차 전지, 물류 단지 등을 유치하여 기업 투자를 촉진하고, 지역 경제의 체질을 개선하는 데 집중할 방침입니다. 부산 에코델타시티의 사례처럼, 그린벨트 해제를 통해 그동안 어려움을 겪었던 부지 확보 문제도 해결될 것으로 보입니다.
124조 5천억 원 경제 효과, 38만 명 고용 창출 기대
정부는 이번 그린벨트 해제를 통해 막대한 경제적 파급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사업이 본격적으로 궤도에 오르면 생산 유발 효과 124조 5천억 원, 고용 효과 약 38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됩니다. 이는 침체된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국가 균형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수치입니다.
빠르면 내년부터 해제 절차 돌입, 관계 기관 협의 본격화
정부는 그린벨트 해제를 최대한 신속하게 추진하기 위해 관계 기관 협의를 거쳐, 이르면 내년부터 차례로 해제 절차를 밟을 계획입니다. 오랜 기간 묶여있던 그린벨트 규제가 풀리고, 대규모 개발 사업이 본격화되면 비수도권 지역 경제에 새로운 활력이 불어넣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역 주도 성장 시대 개막, "지역에서부터 변화를 이끌어낸다"
정부는 이번 그린벨트 해제를 통해 "새로운 환경에 맞춰 규제와 지원 제도를 과감하게 개선하고, 특히 지역에서부터 변화를 이끌어내겠다"는 의지를 강조했습니다. 획일적인 규제에서 벗어나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개발을 지원하고, 지역 주도의 성장 모델을 구축하겠다는 것입니다. 이번 그린벨트 해제가 대한민국 균형 발전의 새로운 turning point가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